Move to menuMove to category menuMove to main contents
Environmental

Climate Change Response

기후변화 거버넌스

SK D&D는 기후변화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사회, 경영진, 실무진 레벨로 구성된 기후변화 거버넌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산하의 ‘ESG위원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넷제로 이행 등을 포함한 ESG 경영 전반 사안을 관리∙감독하며, ESG 가치를 통합한 사업 전략 및 방향성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CEO 직속 산하 기구인 ‘스페이스전략위원회’는 사업 및 투자 활동 과정에서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를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ESG 전담부서인 ‘ESG Part’는 유관부서와 협업하여 각 영역별 개선 과제를 점검하고, 실무적인 지원이 필요한 부서에 기후변화 대응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ESG Part’는 사업 본부별 주요 ESG 의사결정 사안을 발굴 및 상정하여 이사회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외부 ESG 평가 및 공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구성원들의 기후변화 및 환경 인식 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및 캠페인 등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이슈는 정기적으로 연 1회 이상 이사회/경영진에 보고되어 주요 현안 및 활동 계획을 관리하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응 성과를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C-level(CEO, CSO)과 사업별 총괄 책임자의 KPI 목표와 연계하여 기후변화 대응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거버넌스 및 역할

기후변화 대응 전략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 식별

SK D&D는 기후변화가 자산 및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과학 기반 데이터와 국제 시나리오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위험의 경우, S&P Global의 Climanomics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 및 운영 자산이 위치한 지역의 기후 노출도(폭염, 침수, 가뭄, 태풍 등)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각 자산이 단기·중장기적으로 직면할 수 있는 물리적 리스크의 수준을 도출하였고, 향후 자산 계획 및 기술 설계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전환 위험은 IEA(국제에너지기구)의 Net Zero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저탄소 전환 가속화에 따른 정책 변화, 에너지 가격 변화, 시장 수요 변화 등을 고려하여 주요 리스크 및 기회를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외부 데이터 기반 분석을 내부 ESG 리스크 협의체 및 유관 부서 인터뷰와 병행하여 진행함으로써, SK D&D의 사업 특성에 맞는 실질적 리스크·기회 항목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기후 관련 물리적 위험 식별 결과

구분물리적 위험영향을 받는 자산*예상 영향 기간**
강북서초성동마포단기중기장기
급성
  • 극심한 기상 현상으로 인해 받는 피해
홍수(하천 범람)VVV
홍수(도심 범람)VVV
태풍VVV
가뭄V
만성
  • 기후 패턴 자체의 변화로 발생하는 장기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받는 피해
이상기온VVV
  • *강북(수유 838), 서초(강남 262, 서초 393), 성동(성수 101, 성수 121, 구의웰츠), 마포(신촌 369) 중 기후 관련 물리적 위험이 식별된 경우 ○로 표기함. 양적 중요성 금액의 25% 이상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위험이 식별되지 않음.
  • **단기(~1년 이내), 중기(1년 초과~5년 이내), 장기(5년 초과~)

기후 관련 전환 위험 식별 결과

구분전환 위험영향을 받는 사업모형*예상 영향 기간**
부동산 개발리츠 운용부동산 운영 관리가구 사업단기중기장기
정책 및 법률법∙규제규제 대상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V
온실가스 배출 보고 의무 강화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로 인한 데이터의 신뢰성 및 투명성 증가VV
개발 상품 규제기후변화, 에너지 관련 의무사항 및 규제 강화VV
소송 위험 노출기후 위험 대응 미흡, 그린워싱 등의 사유로 이해관계자의 소송 증가V
기술저탄소 기술 전환기술 도입 과정에서의 비용 투입VV
시장소비자 행동변화소비자의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시장 수요 변화VV
시장의 불확실성기후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수요 및 공급 안정성 하락V
원료비 상승친환경,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 확산기조에 따른 생산 비용 상승VV
평판소비자 등의 선호도 변화가구 및 포장재의 재활용 용이성 증대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VV
이해관계자의 부정적 견해 증가소비자 및 투자자의 선호도 변화, 이해관계자의 부정적 피드백 증가VV
여신/투자/보험 언더라이팅 활동언더라이팅에 따른, 투자 실패 및 평판 하락V
프로젝트 및 활동에 대한 기후변화 관련 부정적 언론 보도온실가스 다배출 포트폴리오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VV
  • *부동산 개발(SK디앤디), 리츠 운용(디앤디인베스트먼트), 부동산 운영 관리 및 가구 사업(디앤디프라퍼티솔루션) 중 기후 관련 전환 위험이 식별된 경우 ○, 중요 전환 위험으로 선정된 경우 ●로 표기함.
  • **단기(~1년 이내), 중기(1년 초과~5년 이내), 장기(5년 초과~)

기후 관련 기회 식별 결과

구분전환 위험영향을 받는 사업모형*예상 영향 기간**
부동산 개발리츠 운용부동산 운영 관리가구 사업단기중기장기
자원효율성친환경 운송수단의 이용사업 운영 전반에 친환경 차량 도입VVV
고효율 오피스의 이용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사무공간 사용VV
에너지 자원저탄소 에너지 이용밸류체인 내 운영·사용 단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VV
제품 및 서비스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및 확대에너지 고효율, 제로에너지 건축물 및 지속가능성 관련 서비스등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 개발, 확대VV
기후변화 적응대책, 회복탄력성 및 보험 상품 개발자연재해 피해 예방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 서비스 제공V
소비자 선호도 변화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증가VV
시장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리스크 감소투자 의사결정시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 대상으로 포함하여, 사전 관리를 통한 좌초자산화 리스크 감소VV
수탁자 책임 관련 규제에 대한 적시적 준비관리자산의 금융배출량 관리를 통한 시장에서의 기회 확보V
  • *부동산 개발(SK디앤디), 리츠 운용(디앤디인베스트먼트), 부동산 운영 관리 및 가구 사업(디앤디프라퍼티솔루션) 중 기후 관련 기회가 식별된 경우 ○, 중요 기회로 선정된 경우 ●로 표기함.
  • **단기(~1년 이내), 중기(1년 초과~5년 이내), 장기(5년 초과~)

다음과 같이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와 이에 대한 대응의 결과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무적 영향을 산출하였습니다. 재무적 영향 정보의 경우, 자산 · 수익 증가, 비용 감소, 현금흐름증가 항목의 경우 양의 값으로, 수익 감소, 비용 증가, 현금흐름감소 항목은 음의 값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위험 및 기회 요인별 재무적 영향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영향 예상 기간 및 금액
구분단기중기장기
물리적 위험(급성)*급성 태풍, 침수, 산불 등 물리적 위험 발생으로 인한 시설 손상 발생-339-1,273-6,848
물리적 위험(만성)*만성 물리적 위험으로 인한 설계원가 증가
전환 위험(기술)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기술 도입 과정에서의 비용 투입
전환 위험* (정책 및 법률, 시장)(정책 및 법률) 부동산 상품 및 밸류체인의 기후변화, 에너지 관련 의무사항 및 규제 강화
(시장) 소비자의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 수요 변화
(시장) 친환경,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 확산기조에 따른 원자재, 설비 적용으로 인한 생산 비용 상승
  • *해당 항목은 및 심각성은 불확실성이 높은 변수에 해당하여 양적 정보의 제공을 제외함
  • **단위: 백만원
위험 및 기회 요인별 재무적 영향(상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영향 예상 기간 및 금액
구분단기중기장기
물리적 위험 (급성)급성 태풍, 침수, 산불 등 물리적 위험 발생으로 인한 시설 손상 발생급성 물리적 위험(침수)으로 인한 유형자산 손상차손, 재고자산평가손실 발생*
급성 물리적 위험(침수)으로 인한 보험료 지급액 증가
물리적 위험 (만성)만성 물리적 위험으로 인한 설계원가 증가효율성 높은 냉방기, 공조시설 및 에너지저장시스템 도입 요구로 인한 부동산 매출원가 상승 및 영업현금흐름 유출 증가**
전환 위험 (기술)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기술 도입 과정에서의 비용 투입사용권자산 증가에 수반되는 사용권자산상각비 증가***-92-454-4,040
리스부채 증가에 수반되는 이자비용 증가***-19-72-731
리스료 지급에 따른 재무활동현금흐름 감소***-104-514-4,574
전환 전략에 따라 회피된, 내연기관 차량을 유지했을 시의 사용권자산상각비 절감분****843932,997
전환 전략에 따라 회피된, 내연기관 차량을 유지했을 시의 리스부채 이자비용 절감분****1761546
전환 전략에 따라 회피된, 내연기관 차량을 유지했을 시 지급할 리스료 지급분의 회피 재무활동현금흐름 증가****954453,394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조달로 인한 영업비용 증가 및 영업현금흐름 감소*****-160-566-3,120
-160-566-3,120
전환 위험(정책 및 법률) 부동산 상품 및 밸류체인의 기후변화, 에너지 관련 의무사항 및 규제 강화제로에너지빌딩, 녹색건축물 개발 확대 대응 목적의 연구개발비, 인증비용 등 제반비용(영업비용) 및 영업현금흐름 유출 증가******
(정책 및 법률, 시장)(시장) 소비자의 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 수요 변화
(시장) 친환경,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 확산기조에 따른 원자재, 설비 적용으로 인한 생산 비용 상승제로에너지빌딩, 녹색건축물 소비자 수요 증가 대응 목적의 설계 비용(영업비용) 및 영업현금흐름 유출 증가
  • *일부 운영중인 자산은 불투수 도심지역, 강 연안 지역에 위치해 있는 자산이 기후 변화 관련 급성 물리적 위험 중 폭우로 인한 침수, 하천 범람으로 인한 침수에 중요하게 노출되어 있어, 유형자산의 손상, 재고자산평가손실 분석 및 측정의 일부로 고려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로, 이러한 급성 물리적 위험으로 인한 재해별 손실율의 증가에 따라 수반되는 보험료가 증가하여 영업비용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급성 물리적 위험의 빈도 및 심각성의 수준에 따라 해당 재무영향은 광범위하게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빈도 및 심각성은 불확실성이 높은 변수에 해당하여 양적 정보의 제공을 제외하였습니다.
  • **만성 물리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중인 재고자산에 대한 이상기온 대응 목적의 효율적인 냉방장치, 공조시설 및 에너지저장시스템 도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관련 매출원가의 상승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만성 물리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요구사항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사안으로, 만성 물리적 위험의 심각성 수준에 따라 해당 재무영향은 광범위하게 산출될 수 있음에 따라 다수의 투입변수가 있는 점, 물리적 위험의 심각성은 불확실성이 높은 변수에 해당하는 점을 고려하여 양적 정보의 제공을 제외하였습니다.
  • ***온실가스 감축 요구량 증가하는 전환 위험을 식별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 법인차량을 친환경차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예상 재무영향에 기재된 양적 정보의 경우 회사의 탄소중립 로드맵 및 전략에 의거하여 리스기간을 산출하고 기존 내연기관 법인차량의 리스종료 시점에 친환경차로 전환함을 가정하였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도, 리스종료 시점에 전기차로 전환함을 가정하였습니다. 리스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다른 전기차로 재투자될 것이며, 리스의 계약기간과 증분차입이자율 정보는 기존의 리스와 동일하게 유지될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 ****기존 내연기관 법인차량을 친환경차로 대체할 예정임에 따라, 해당 전략의 결과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 리스를 유지했을 시의 사용권자산상각비 및 리스부채 이자비용 절감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상 재무영향에 기재된 양적 정보의 경우, 법인차량으로 사용할 친환경차와 동일한 성능의 내연기관 차량의 리스료 차이를 통해 산정하였습니다.
  • *****SK D&D는 온실가스 감축 요구량 증가에 따라 현물 REC의 매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예상 재무영향에 기재된 양적 정보의 경우, 탄소중립 로드맵 및 전략에 의거하여 조달할 예정 사용량을 기반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조달하는 데 소요할 단가는 REC 평균가를 기준으로, 내부 가격 추정치 증감률을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 ******SK D&D는 전환 위험의 요소로 부동산 상품 내에 기후 변화, 에너지 관련 의무사항 규제의 강화, 이러한 친환경, 제로에너지 부동산 보급 요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동산의 설계에서 운영과정에 대해 친환경적 요소의 반영에 수반되는 연구개발비, 인증비용 등 제반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설계 단계에서의 고객의 친환경적 요구사항 증가에 따라 수반되는 외주비의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재무영향의 경우 규제시장의 변동, 고객의 요구사항의 다양성에 따라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될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재무영향은 광범위하게 산출될 수 있어 측정 자체가 용이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양적 정보의 제공을 제외하였습니다.

재무적 영향에 따른 대응 전략

식별된 중요 위험 및 기회대응 전략(현재 및 예상 조치)
전환 위험정책 및 법률기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의무 사항 및 규제 도입
  • 정부의 법과 제도 기준 이상을 적용하여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녹색건축물 개발 확대
기술저탄소 기술 전환
  • 법인차량의 친환경차량 전환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조달 계약을 통한 전력 조달
시장소비자 행동 변화
  • 에피소드 고객 대상 공감과 신뢰 확보를 위한 지표 개발 및 사회적 가치 측정 수행
  • 소비자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맞춰 녹색건축물 설계부터 운영 전 과정에 환경친화적 요인 강화
  • 고객 가치, 데이터 및 AI 기반의 Space As a Service 제공, DT(Digital Transformation)를 통한 현실과 가상공간 연결 및 시간, 장소 제약 극복
평판이해관계자의 우려 또는 부정적 견해 증가
  • ESG 경영 전략 수립 시 이중 중요성 평가를 통해 이해관계자 의견 반영
  • ESG 성과 경영 성과 홈페이지 공시
  • 주요 이슈 정보 공개 및 소통 채널 업데이트로 정보 접근성 강화
기회제품 및 서비스저탄소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및 확대
  • 주거 및 업무 공간의 녹색건축물 인증 100% 획득 및 지속가능한 공간 솔루션 제공
  • 고효율 에너지 건물 및 Zero Emission Building 개발과 투자 확대
소비자 선호도 변화
  • 에피소드 고객 대상 공감과 신뢰 확보를 위한 지표 개발 및 사회적 가치 측정 수행
  • 녹색건축물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맞춰 건축물 설계부터 운영까지 환경친화적 요인 강화
  • 고객 가치, 데이터 및 AI 기반의 Space As a Service 제공, DT를 통한 현실과 가상공간 연결 및 시간, 장소 제약 극복 예상
시장(금융섹터)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반영되는 자산의 좌초자산화 리스크 감소
  • 투자 대상 또는 신규 프로젝트 발굴 시 'ESG 리스크 검토 프로세스'에 따라 잠재적 ESG 리스크 사전 심사, 리스크 완화 계획 수립 및 이행

기후 회복력

SK D&D는 당사가 수립한 전략이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 회복력을 갖추고 있는지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홍수, 태풍, 가뭄 등 급성 물리적 위험에 대해, 사전적인 물리적 위험 발생가능성 및 효과를 평가하여 사업장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결과에 따라 개선절차를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상기온과 같은 만성 물리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냉방시설 및 주요 설비의 개선을 추진하고, 에너지 자립률을 고려한 녹색건축물 설계 및 운영을 통해 취약성을 낮추고 적응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SK D&D는 녹색건축물 인증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친환경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한편, 투자 프로젝트 선정 시 ESG 관련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환경경영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재무적 영향에 따른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여 대응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전환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위험 관리

SK D&D는 ESG 경영과 관련된 비재무 리스크의 경우 ESG위원회를 통해 검토되고 있습니다. ESG Part를 중심으로 기후변화 리스크를 포함한 각 리스크 유형별 핵심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 현황 및 계획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리스크 관리 과제 추진 현황을 경영진에게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리스크 관리 주요 내용 및 역할

전사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내용리스크 관리 조직 역할
리스크 인식 및 과제 도출/목표수립
  • 각 조직별 특성을 고려한 리스크 식별
  • 리스크 규모, 영향력 등 중요도를 고려한 핵심 리스크 과제 및 목표 수립
  • 조직별 C-Level 수준의 핵심 리스크 과제 도출,. 목표 및 일정 수립
리스크 개선 실행 및 모니터링
  • 핵심 리스크 과제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실시
  • 리스크 유형별 담당 조직별 과제 추진현황 취합, 분석하여 CEO 보고
  • 투자/운영 관련 건 스페이스전략위원회 보고
  • 경영활동에 영향이 있는 중대한 이슈 발생 시 이사회 보고 실행
리스크 결과 보고
  • 연간 리스크 관리 실적 이사회/ESG위원회 보고
  • 리스크 식별/대응 현황 CEO 상시 보고
  • 리스크 관리 실적 및 중대 리스크 발생시 이사회 보고

기후변화 지표 및 목표

온실가스 감축 목표

SK D&D는 IEA의 1.5℃ 시나리오(NZE2050)를 기준으로 글로벌 이행 마일스톤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중장기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부동산 개발 부문에서는 전과정(Life-cycle)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지 이용의 효율성, 원자재 사용, 실내환경, 에너지 효율, 온실가스 배출,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전 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친환경 인증 확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운영 부문에서는 고객의 친환경 행동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단계에서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30 Net Zero 로드맵 – Scope 1 & 2

SK D&D 기후변화 대응 Approach

직접 및 간접배출 감축(Scope 1 & 2) - RE100 & EV100

SK D&D는 사업장 Net Zero를 위한 중∙단기 전략으로 부동산 개발 및 운영 사업부문에서 발생하는 Scope 1, 2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실행하고자 합니다. 2023년에는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공급받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이행하였으며, 2030년까지 법인 차량의 전기차 전환 100%를 이행하여 감축량을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그 외 잔여 배출량은 정부의 수소공급 목표 및 정책 등을 기반으로 탄소 상쇄 사업을 통해 감축할 계획입니다.

기타 간접배출 감축(Scope 3)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 녹색건축물 개발

SK D&D는 조직 경계 내의 Scope 1, 2 Net Zero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전 밸류체인의 탄소 감축 달성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효율 에너지 건물 및 Zero Emission Building을 고려한 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고, 주거 및 업무 공간의 녹색건축물 인증 100% 획득과 지속가능한 공간 솔루션 제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체 투자 및 운영 포트폴리오, 협력업체 등 전 공급망의 온실가스 배출 관리를 강화하고 파트너사 공동 감축 노력도 구체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현황

SK D&D는 국내 온실가스 관련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라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Scope 1, 2)를 넘어 선제적으로 임대자산 및 부동산 투자 영역(Scope 3)까지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전 밸류체인 차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SK D&D는 Net Zero 달성을 위한 연도별 세부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 로드맵을 구체화해 나감으로써 기후위기 심각성에 공감하고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 배출권 거래제 등
SK D&D 온실가스 관리 범위

2024년 환경 목표 및 성과

구분단위2024 목표2024 성과*목표 달성률**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tCO2eq230.0212.5108.2
에너지 사용량TJ20.019.5102.6
  • *RE100 이행을 통한 Scope 2 감축량 반영
  • **목표 달성률: {1-(성과-목표)/목표 절대값} x 100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는 SK D&D의 전체 사업장 및 배출시설(100%)*을 반영하였으며 Scope 1, 2, 3에 대해 SK D&D 및 자회사별 제3자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 본사, 가시리 풍력발전소, 순천 태양광발전소, 스마트워크센터, 에피소드 성수 101, 성수 121, 캔버스Lab, 사조빌딩

SK D&D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3)*

구분단위202220232024
Scope 1고정연소tCO2eq134.1133.6115.5
이동연소tCO2eq127.4125.157.2
Scope 1 총 배출량**tCO2eq261.5258.7172.7
Scope 2배출 - 전기tCO2eq826.7859.8705.9
감축 - REC 활용tCO2eq0-859.8-705.9
배출 - 열tCO2eq62.958.839.8
Scope 2 총 배출량**tCO2eq889.658.839.8
Scope 1+2 총 배출량tCO2eq1,151.1317.5212.5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tCO2eq/백억 원22.910.03.5
Scope 3Category 3 에너지tCO2eq144.7160.0130.2
Category 6 출장tCO2eq26.420.530.8
Category 7 통근tCO2eq276.7240.8193.8
Category 13 임대자산tCO2eq8,378.08,052.81,584.1
Category 15 투자tCO2eq26,159.346,529.08,622.7
Scope 3 총 배출량**tCO2eq34,985.255,003.110,561.6
Scope 1+2+3 총 배출량tCO2eq36,136.355,320.610,774.1
  • *SK D&D는 국내 사업장만 존재하며, 상기 데이터는 국내 사업장 100% 범위에 해당함. 재무통제 기준에 따라 ‘23년대비 조직경계를 수정함 (본사, 가시리 풍력발전소, 순천 태양광발전소, 스마트워크센터, 에피소드 성수 101, 성수 121, 캔버스Lab, 사조빌딩)
  • **반올림에 따른 유효숫자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의견서와 온실가스 배출량 합이 상이할 수 있음
  • ***당해연도 매출액(별도) 기준으로 온실가스 Scope 1+2 총 배출량에 대한 집약도를 산정함

자회사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3)*

구분단위202220232024
DDIDDPSDDIDDPSDDIDDPS
Scope 1 총 배출량**tCO2eq6.718.22.420.046.533.1
Scope 2배출tCO2eq35.489.943.6110.4109.9150.6
감축-REC 활용tCO2eq00-43.6-110.4-109.9-150.6
Scope 2 총 배출량**tCO2eq35.489.90000
Scope 1+2 총 배출량tCO2eq42.1108.12.420.046.533.1
Scope 3Category 3 에너지tCO2eq5.714.46.817.620.924.9
Category 6 출장tCO2eq5.926.46.820.53.630.8
Category 7 통근tCO2eq18.433.525.930.520.634.5
Scope 3 총 배출량**tCO2eq30.074.339.568.645.290.1
Scope 1+2+3 총 배출량tCO2eq72.1182.441.988.691.7123.2
  • *자회사(DDPS, DDI)는 국내 사업장만 존재하며, 상기 데이터는 국내 사업장 100% 범위에 해당함
  • **반올림에 따른 유효숫자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의견서와 온실가스 배출량 합이 상이할 수 있음
  • ***2022~2023년 Scope 3배출량의 경우, 재무통제 기준에 따라 조직경계를 수정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정함

에너지 사용량

SK D&D는 본사 사옥 Eco-hub의 운영·유지보수 단계에서 지열 시스템, 태양광 발전 시스템, Smart Glass 등 에너지 사용량 저감 설비를 갖추어 환경영향과 에너지 사용량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 임대주택 등에 신재생에너지 사용, 고효율 에너지 설비 적용으로, 전사 차원에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SK D&D 에너지 사용량*

구분단위202220232024
비재생에너지직접에너지LNGTJ2.6412.6302.274
프로판TJ0.1630.0900.007
휘발유TJ0.9871.2220.679
경유TJ0.7330.5370.159
전체TJ4.5244.4793.119
간접에너지전기TJ17.27700
스팀TJ1.7001.6331.135
전체TJ18.9771.6331.135
비재생에너지 총 사용량**TJ23.5016.1124.254
재생에너지자가사용TJ0.0220.0160.015인증서 구매 실적TJ020.37915.226총 사용량TJ0.02220.39515.241사용 비율%0.09476.94278.180
총 에너지 사용량(재생에너지+비재생에너지)TJ23.52326.50719.495
에너지 집약도***TJ/백억 원0.4680.8330.322
  • *SK D&D는 국내 사업장만 존재하며, 상기 데이터는 국내 사업장 100% 범위에 해당함. 재무통제 기준에 따라 ‘23년대비 조직경계를 수정함 (본사, 가시리 풍력발전소, 순천 태양광발전소, 스마트워크센터, 에피소드 성수 101, 성수 121, 캔버스Lab, 사조빌딩)
  • **반올림에 따른 유효숫자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의견서와 에너지 사용량 합이 상이할 수 있음
  • ***당해연도 매출액(별도) 기준으로 총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집약도를 산정함

자회사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3)*

구분단위202220232024
DDIDDPSDDIDDPSDDIDDPS
비재생에너지직접에너지TJ0.1000.2710.0360.2980.8650.537
간접에너지TJ0.7391.8790000
비재생에너지 총 사용량**TJ0.8392.1500.0360.2980.8650.537
재생에너지재생에너지 총 사용량TJ000.9102.3072.2953.148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0096.20088.56072.62185.427
총 에너지 사용량(재생에너지+비재생에너지)**TJ0.8392.1500.9462.6053.1603.685
  • *자회사(DDI, DDPS)는 국내 사업장만 존재하며, 상기 데이터는 국내 사업장 100% 범위에 해당함. 2022~2023년 데이터는 재무 통제 기준으로 조직 경계를 변경함에 따라 재산정한 수치임.
  • **반올림에 따른 유효숫자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의견서와 에너지 사용량 합이 상이할 수 있음

온실가스 및 에너지 감축량

구분단위202220232024
신재생에너지 자가사용량*MWh525.48454.4368.38
에너지 사용 절감량TJ5.054.360.66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tCO2eq244.511,082.29746.75
  • *SK D&D 본사(Eco-hub) 및 인적분할 이전까지의 제주가시리 풍력발전소(현. SK이터닉스)를 통해 생산된 신재생에너지 자가 소비량을 의미함
  • **온실가스 감축량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자가소비 REC 구매를 통한 RE100 이행으로 감축한 온실가스량을 의미함 - 본사(Eco-hub)에서 발전·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SK D&D의 사용 면적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감축량을 반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