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D&D는 ESG 가치가 오피스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여, ‘Office Core Value Model’을 기반으로 미래 업무공간 개발의 방향성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Product(상품), People(사용자), Planet(환경)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Social Responsibility(사회적 책임)와 Environmental Sustainability(친환경 시스템)의 두 가지 연결 가치를 더해 총 5가지 핵심 가치(Pillars)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K D&D의 미래 업무공간 가이드(Office Core Value Model)
SK D&D는 이 5가지 핵심가치를 실제 프로젝트에 내재화하기 위해, 다음의 ‘4가지 업무공간 비전(Next Workplace Vision)’을 설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 ① Time + Future: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리모델링 및 지역 맥락 보존 설계
- ② Green Lifecycle x Solution: 개발부터 운영까지 전 생애주기 탄소 저감
- ③ Hyper-Personality: 사용자 특성과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공간 구현
- ④ Public = Culture: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연결되는 열린 커뮤니티 구축
이를 통해 SK D&D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쳐 ESG를 내재화하며, 탄소배출 저감, 자원순환, 사용자 건강 증진, 지역사회와의 상생이라는 통합적 목표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특히 환경 측면에서는 건물 생애주기 탄소 저감(LCA 기반 설계), 친환경 자재와 스마트 시스템 적용, 국내외 인증 요구사항 기반 설계 기준 도입 등을 통해 2050 Net-Zero City 실현이라는 장기적 비전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부동산
부동산 개발 방향
SK D&D는 부동산 개발 전과정(Life Cycle)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지 이용과 편의성, 생태와 실내 환경, 에너지와 환경오염, 유지보수 용이성, 원자재 및 자원사용, 수자원 관리 등을 고려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업용, 주거용 건축물의 100% 녹색건축물 인증 획득’을 목표로, 건축물의 환경친화적 영향에 투명성과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녹색건축 인증’,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등 제3자 인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노후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그린 리모델링을 수행하여 지역사회의 생태환경 회복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지속가능한 투자
SK D&D는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사업 전반 밸류체인 내 ESG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젝트 및 투자 대상 검토 시 ESG 리스크 검토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글로벌 투자기관에서 정의하는 투자 배제 또는 죄악 산업에 해당하는지를 평가하고, 국내외 녹색분류체계 포함 여부를 검토한 다음 ESG 영역에서의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ESG 리스크가 낮거나, 리스크 완화 계획이 수립된 프로젝트 건에 대해서는 Working Group Meeting에 ESG 리스크 검토 결과 보고서를 부의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합니다. 이처럼 투자심의 대상 사업의 재무적, 법적 리스크뿐만 아니라 ESG 리스크를 사전에 검토하고 관리함으로써 투자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ESG 리스크 검토 프로세스
녹색건축물 설계 및 운영
SK D&D는 녹색건축물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발맞춰 건축물 설계부터 운영 전 과정에 걸쳐 환경친화적 요인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설계 초기 단계부터 국내외 녹색건축물 인증 표준과 설계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제3자 인증 획득을 염두에 두고 건축물 에너지 효율 및 자원 효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을 적용합니다. 또한, 친환경 인증 자재를 구매 및 사용하여 건축물의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건축물 운영 시에도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 가구 및 공간 등을 제공하며, 환경과 관련된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건축물과 주거생활의 환경 영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에피소드 용산 241 사례
녹색건축물 개발 프로세스
녹색건축물 운영 단계의 환경영향 저감 노력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SK D&D는 임대주택 브랜드 에피소드를 개발할 때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적용하여, 자재 생산부터 폐기 단계까지 건축물 전 생애주기 동안의 환경영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환경영향 저감을 위해 설계 및 시공 시에는 친환경 자재 사용, 고효율 에너지 설비 설치 등을 실시하고, 운영 시에는 입주민 대상 ESG 생태계 구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단계별 환경영향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건축물 Life Cycle
에피소드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결과
구분 | 단위 | 자재/생산 | 시공 | 운영 | 폐기 | 합계 |
---|---|---|---|---|---|---|
에피소드 신촌 캠퍼스 | tCO2eq/m2 | 7.82E+02 | 2.68E+01 | 9.29E+02 | 9.23E+00 | 1.75E+03 |
에피소드 용산 241 | tCO2eq/m2 | 6.97E+02 | 2.70E+01 | 2.58E+03 | 7.84E+01 | 3.38E+03 |
에피소드 수유 838 | tCO2eq/m2 | 4.29E+02 | 5.62E+00 | 1.61E+03 | 2.82E+02 | 2.33E+03 |
에피소드 신촌 369 | tCO2eq/m2 | 6.16E+02 | 2.67E+01 | 1.01E+03 | 8.38E+00 | 1.67E+03 |
에피소드 서초 393 | tCO2eq/m2 | 4.32E+02 | 5.66E+00 | 1.43E+03 | 6.49E+01 | 1.93E+03 |
에피소드 강남 262 | tCO2eq/m2 | 3.93E+02 | 5.67E+00 | 1.27E+03 | 1.81E+02 | 1.85E+03 |
- *건물 수명은 관련 지침에 따라 50년으로 설정
환경 성과 관리
SK D&D는 당사의 사업장뿐만 아니라, 투자·운영 사업장에서의 환경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에피소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수자원 등의 환경 성과를 수집·관리하고 있습니다. 정량적 환경 성과를 기반으로 개선안을 발굴하고, 각 사업장 현황에 맞는 환경영향 저감 방안을 수립하여 에피소드별 맞춤형 ESG 생태계 확산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2024 에피소드별 환경성과
구분 | 단위 | 성수101 | 성수121 | 신촌369 | 수유838 | 서초393 | 강남262 | 용산241 | 구의웰츠 |
---|---|---|---|---|---|---|---|---|---|
총 에너지 사용량 | TJ | 3.9 | 4.4 | 21.1 | 51.0 | 22.0 | 29.0 | 1.2 | 25.7 |
신재생에너지 사용량 | TJ | 3.3 | 2.8 | 0 | 0.3 | 0.2 | 0.4 | 0.1 | 0.2 |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 % | 83.3 | 65.3 | 0 | 0.6 | 0.9 | 1.9 | 5.7 | 0.7 |
온실가스 감축량* | tCO2eq | 147.1 | 136.0 | 0 | 42.4 | 26.1 | 48.9 | 9.0 | 17.1 |
수자원 사용 | ton | 5,339 | 7,447 | 30,043 | 69,294 | 27,080 | 16,942 | 57,132 | 51,355 |
- *SK D&D가 개발∙운영 중인 상품 중 임대주택 부분에 대한 성과이며, 에피소드 성수101, 121의 경우 조직경계 내 RE100 이행 사업장이며, REC 구매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건물 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에 따른 소내 사용에 따른 감축량을 포함함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
SK D&D는 글로벌 기후변화 등 환경에 대한 고객들의 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주거 및 업무 공간에서 다양한 친환경 요소를 고려하여 더욱 높은 수준의 공간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입주민이 환경친화적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당사가 개발하는 모든 건축물에 대해 제3자 친환경 인증 획득을 목표로 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지속가능한 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환경 인식 개선, 사회 참여 활동 확대 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SK D&D는 공간 설계와 시공부터 운영과 관리에 이르기까지 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건축물 개발 단계에서 친환경 인증 자재를 사용하며,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및 사회 친화적 주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주방, 거실, 라운지 등 공유 공간을 조성하고, 친환경 소재 가구와 비품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피소드 수유 838'은 디자인 파트너사와 함께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제공을 목표로 설계하였습니다. 에피소드 수유 838에 배치된 전체 가구 및 소품의 약 80%가 폐섬유 및 폐페트병과 같은 재활용 또는 업사이클링 소재로 제작되어 약 3톤의 탄소 감축 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미국 EPA(환경보호청) 인증을 획득한 LVT 바닥재를 사용, 2차 가공을 최소화하고 자연 분해되거나 재활용 가능한 마감재를 사용하는 등 인테리어 전반에서 자원순환을 고려하였습니다. 공유 공간 내 모든 가구 및 비품은 용도 변경, 수리,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가전 및 가구를 빌려쓰는 홈퍼니싱 구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및 성과
도시 재생사업
그린 리모델링
SK D&D는 저효율 노후빌딩을 고효율 녹색빌딩으로 전환하는 그린 리모델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내·외관 디자인뿐만 아니라 단열, 공조 등 고효율 설비를 적용 및 개선함으로써, 주거 환경 개선, 냉난방 비용절감, 에너지 효율 향상을 달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건축물의 가치 상승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가 ‘ZEB(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로드맵’ 이행에 발맞춰 제로에너지빌딩 확대와 더불어 선제적인 PEB(플러스에너지빌딩) 구현을 추진하여, 건축물 에너지 자립을 통한 환경가치 실현에 앞장서겠습니다.
그린리모델링 추진방안 및 기대효과
그린 리모델링 수행 실적
구분 | 준공일 | 면적 | 개요 |
---|---|---|---|
수송스퀘어 | ‘17년 2월 | 15,235평 | 수평 증축 확장 및 현대화로 고객 맞춤형 리모델링 수행 |
명동 청휘빌딩 | ’19년 6월 | 1,782평 | 명동 중심상권 내 복합건물 리모델링으로 호텔 개발 |
31 빌딩 | ’20년 10월 | 12,353평 | 기존 빌딩의 역사적 가치 보존 및 현대화로 리모델링 수행 |
명동 N빌딩 | ’22년 12월 | 4,143평 | SK네트웍스 빌딩 리모델링으로 CBD 권역 랜드마크 개발 |
충무로 오피스 | ‘24년 6월 | 6,546평 | CBD 핵심권역 증축 리모델링 및 용도 변경으로 오피스 개발 |
도시 정비사업
SK D&D는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도심 내 낙후지역의 도시 기능 회복과 열악한 기반시설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기반하여 시청역 인근 낙후 지역에는 프라임급 오피스를, 명동 권역에는 비즈니스 호텔을 개발하였으며, 친환경 설계 기준과 에너지 효율, 지역사회 접근성 등 다각적인 환경 요소를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서울역 인근 봉래3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습니다. SK D&D는 중구 남대문로5가 일원 약 4,592.5㎡ 부지를 매입하여 지하 7층~지상 20층, 연면적 약 63,268㎡ 규모의 업무시설 및 근린생활시설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 사업은 SK D&D가 지분 49%를 보유한 부동산투자회사 DDIVC1호리츠를 통해 진행 중이며,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자금 조달을 위해 총 1,550억 원의 장기차입과 브릿지론, 프로젝트파이낸스(PF) 등 복합 금융 구조를 구축하였습니다.
개발 이후에도 건물의 친환경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DDIVC1호리츠는 임차인과의 임대차 계약에 친환경 목표와 성과 지표를 포함하는 그린 리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전문 자산관리 회사인 디앤디인베스트먼트에 자산 관리를 위탁하여 운영의 전문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적 성과를 꾸준히 개선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향후에도 SK D&D는 도심 내 복합 용도 부동산 투자와 도시 재생 개발, 그리고 오염된 브라운필드 부지의 친환경 재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친환경 건축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과 환경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겠습니다.
도시정비사업 수행 실적
구분 | 준공일 | 면적 | 개요 |
---|---|---|---|
서소문 오피스 | ’19년 6월 | 11,527평 | 시청역 인근 낙후 지역의 도시환경정비로 프라임급 오피스 개발 수행 |
저동 비즈니스호텔 | ’20년 8월 | 6,552평 | 도심 명동 권역 내 낙후된 도시환경정비로 비즈니스 호텔 개발 수행 |
서울역 오피스 | (개발 중) | - | 2030 서울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라 지역사회 정비를 위한 오피스 개발 진행 중 |
친환경 인증
SK D&D는 ‘주거/상업용 건축물의 100% 녹색건축물 인증 획득’을 목표로 매년 인증 획득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총 36건의 녹색건축물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향후 추진되는 모든 개발 프로젝트에서도 ESG 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건축물의 환경 영향을 지속적으로 저감할 계획입니다.
대표적으로 ‘생각공장 당산’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1+)과 녹색건축인증 우수 등급을 보유하고 있으며, 설계 단계부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효과적인 차양 디자인 등을 적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녹색건축물 인증 확보 건수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2024 |
---|---|---|---|---|---|
녹색건축인증 | 건 | 12 | 2 | 1 | 1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 건 | 15 | 1 | 1 | 2 |
LEED* | 건 | 1 | 0 | 0 | 0 |
합계 | 건 | 28 | 3 | 2 | 3 |
누적 합계 | 건 | 28 | 31 | 33 | 36 |
-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미국 녹색건축위원회가 주관하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에피소드 운영 현황
녹색건축물 인증 확보 현황
건축물 명 | 인증명 | 인증획득일 | 인증기관 |
---|---|---|---|
에피소드 용산 241 | 녹색건축인증 (일반) | 2024. 03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주거 | 2024. 03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2) - 비주거 | 2024. 03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강남역오피스 | 녹색건축인증 (우수) | 2023. 03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2023. 03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당산동 생각공장 | 녹색건축인증 (우수) | 2022. 11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2022. 11 | 한국환경건축연구원 | |
에피소드 수유 838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2. 03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주거 | 2021. 11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비주거 | 2021. 11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에피소드 강남 262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1. 11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주거 | 2021. 11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비주거 | 2021. 11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에피소드 신촌 369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1. 11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2021. 11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
에피소드 서초 393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1. 07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2021. 07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판교비지니스호텔 | 녹색건축인증(우량) | 2021. 07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21. 07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저동비지니스호텔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0. 11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20. 09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성수 SK V1 center (I)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0. 05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20. 05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
성수 SK V1 center (Ⅱ)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0. 05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20. 05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
성수 데시앙플렉스(W)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20. 04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20. 03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 |
서소문오피스 | LEED Platinum 인증 | 2019. 12 | 美녹색건축위원회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19. 09 | 크레비즈인증원 |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19. 08 | 한국감정원 | |
문래 SK V1 center | 녹색건축인증(우량) | 2019. 08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1+) | 2019. 08 | 한국환경건축연구원 | |
강남역 BIEL 106 | 녹색건축인증(우량) | 2018. 04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 2018. 04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 |
문래동오피스 | 녹색건축인증(우수) | 2017. 12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1) | 2017. 11 |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