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e to menuMove to category menuMove to main contents
Environmental

Environmental Performance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erformance

TEMP___ 환경경영 내재화를 위해 사업별 총괄 책임자에게 환경성과 개선과 관련된 KPI를 부여하여 체계적으로 성과를 관리하고 있으며, 보상 및 인센티브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개발부분에서의 친환경인증 확보, 신재생에너지 발전·공급을 통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성과 개선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성과평가에 반영하여 실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Environmental Goals

Environmental GoalsTEMP___ caption
TEMP___ 구분TEMP___ 단위TEMP___ 2022 목표TEMP___ 2022 성과TEMP___ 목표대비 배출·사용량
TEMP___ 온실가스 배출량TEMP___ tCO₂eq.TEMP___ 1,070TEMP___ 1,053.14TEMP___ 98.4%
TEMP___ 에너지 사용량TEMP___ TJTEMP___ 22TEMP___ 21.47TEMP___ 97.6%

Environmental KPIs and Achievement Rate

Environmental KPIs and Achievement RateTEMP___ caption
TEMP___ 구분TEMP___ 달성률TEMP___ 단위TEMP___ 2022
TEMP___ 목표TEMP___ 성과
TEMP___ 신재생에너지발전량TEMP___ 115%TEMP___ GWhTEMP___ 330TEMP___ 381
TEMP___ 녹색건출물인증 획득TEMP___ 150%TEMP___ 건TEMP___ 2TEMP___ 3

Sales of Eco-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Sales of Eco-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TEMP___ caption
TEMP___ 구분TEMP___ 단위TEMP___ 2020TEMP___ 2021TEMP___ 2022
TEMP___ 전년 대비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매출 비중TEMP___ %TEMP___ 3TEMP___ 13TEMP___ 23
TEMP___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매출액TEMP___ 백만 원TEMP___ 18,323TEMP___ 117,304TEMP___ 130,646
  • TEMP___ *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매출액을 반영함

Waste Management

TEMP___ 본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내부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따라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페이퍼리스(Paperless) 사업장을 운영하고 구성원의 개인 머그컵 및 텀블러 사용을 의무화하여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폐기물 저감 캠페인을 통해 환경경영 내재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경우, 외부 O&M업체를 통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임대주택 사업장인 Episode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하여 입주민에 의해 발생하는 폐기물 저감 캠페인을 기획·진행할 계획입니다.

Waste Management Data

Waste Management DataTEMP___ caption
TEMP___ 구분TEMP___ 단위TEMP___ 2020TEMP___ 2021TEMP___ 2022
TEMP___ SK D&DTEMP___ 일반폐기물TEMP___ tonTEMP___ 226.7TEMP___ 266.7TEMP___ 286.2
TEMP___ 지정폐기물TEMP___ tonTEMP___ 3.9TEMP___ 2.1TEMP___ 1.6
TEMP___ DDITEMP___ 일반폐기물TEMP___ tonTEMP___ 1.4TEMP___ 0.8TEMP___ 18.0
TEMP___ DDPSTEMP___ 일반폐기물TEMP___ tonTEMP___ 0.7TEMP___ 0.7TEMP___ 7.6
TEMP___ 총 폐기물 배출량TEMP___ tonTEMP___ 232.7TEMP___ 270.3TEMP___ 313.4
  • TEMP___ * IFRS S2 기준 조직경계 변경 및 시설 추가에 전년도 사용량 변동 발생

Water Resource Management

TEMP___ 수자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본사 사업장에 물 사용량 저감·관리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사(Eco-hub) 건물 옥상 및 대지의 우수와 지하수를 모아 중수 원수 또는 조경수로 재사용하고 있으며, 친환경 인증 위생 기구 사용으로 상수 소비를 절감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부동산 개발 시 빗물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빗물과 유출 지하수를 활용하고, 절수형 기기 사용과 사용량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Water Resource Data

Water Resource DataTEMP___ caption
TEMP___ 구분TEMP___ 단위TEMP___ 2020TEMP___ 2021TEMP___ 2022
TEMP___ SK D&DTEMP___ 용수 사용량TEMP___ tonTEMP___ 7,808.0TEMP___ 11,005.9TEMP___ 12,195.3
TEMP___ 용수 저감량TEMP___ tonTEMP___ 797.9TEMP___ 549.4TEMP___ 572.1
TEMP___ DDITEMP___ 용수 사용량TEMP___ tonTEMP___ 214.0TEMP___ 259.0TEMP___ 1,436.0
TEMP___ DDPSTEMP___ 용수 사용량TEMP___ tonTEMP___ 400.0TEMP___ 410.0TEMP___ 382.7
TEMP___ 총 취수량TEMP___ tonTEMP___ 9,219.9TEMP___ 12,224.4TEMP___ 14,586.1
  • TEMP___ * IFRS S2 기준 조직경계 변경 및 시설 추가로 전년도 사용량 변동 발생 ** 총 취수량은 용수사용량 및 용수 저감량(우수 등 사용)을 포함

Biodiversity Protection

지역사회에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사 전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보호를 위해 환경영향평가 요소를 파악, 악영향에 대한 저감 대책을 수립하여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또한 환경영향 평가 결과에 따라 사업장 인근 생태계 보호를 위해 녹지축 조성, 생태 통로 설치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공사 완료 후에도 생태계 보호를 위해 동일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Responses to Protected Species in the Ecosystem